요가의 의미...
요가(Yoga)의 의미와 종류
요가란 말은 산스크리트로서 결합한다는 어원(語源)인 유즈(yuj)에서 시작되었으며, 마음을 긴장시켜 어떤 특정한 목적에 상응(相應) 또는 합일(合一)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요가 (산스크리트어: योग)는 인도의 정신 수련 방법의 하나다. 힌두교에서는 "요가란 실천 생활 철학에 철저함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요가는 또한 인도의 종교의 믿음과 수행과도 관련이 있다.
(출처: 위키백과)
고대 인도에서부터 전하여 오는 심신 단련법의 하나. 자세와 호흡을 가다듬는 훈련과 명상을 통하여 초자연적인 능력을 개발하고 물질의 속박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늘날에는 건강 증진, 미용 따위를 목적으로 한다.
(출처: 네이버 국어사전)
요가는 요가 체조인 하타 요가(Hata Yoga)와 명상인 라자 요가(Raja Yoga)로 나눌 수 있다.
(출처: 박지명. [나에게로 떠나는 인도 명상 여행]. 하남출판사, 1999. p.65)
요가는 고대 인도의 여섯 수행 체계 중의 하나로, 요가를 체계적으로 정립한 것은 파탄잘리에 의해서이다. 요가는 삶의 이론 체계를 정립한 상키야 철학과 함께 인도 철학과 수행 체계의 핵심 철학이며, 가장 대중적이기도 하다.
요가는 8 가지의 갈래로 나뉘어져 있다.
1. 야마: 보편적인 도덕률(진리, 무저항, 훔치지 않음, 청정한 삶, 무소유)
2. 니야마: 계행戒行에 의한 자신의 정화(정화, 만족, 고행, 경전공부, 신에게 헌신)
3. 아사나: 동작
4. 프라나야마: 호흡 실기
5. 프라트야하라: 감각 통제
6. 다라나: 마음의 집중
7. 드야나: 명상
8. 사마디: 초월의식
요가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1. 하타 요가(Hata Yoga): 몸을 다룸
2. 라자 요가(Raja Yoga): 마음을 다루고 명상으로 이끔
3. 카르마 요가(Karma Yoga): 행동과 봉사를 함
4. 박티 요가(Bakti Yoga): 사랑과 헌신적인 길을 감
5. 즈나나 요가(Jnana Yoga): 지혜와 분별의 길을 감
(출처: 박지명. [나에게로 떠나는 인도 명상 여행]. 하남출판사, 1999. p.96~97)
박티 요가( भक्ति योग)는 힌두교
(출처: 위키백과)
*참조: 전통적으로 인도에서는 인간이 신과 하나가 될 수 있는 길은 지식, 행위, 박띠의 세 길 중의 하나라고 했습니다(참조: 김주희, 김우조, 류경희 공저. [인도 여성-신화와 현실].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