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적인 내적치유

상담자의 자세...

하늘강가 2014. 9. 24. 19:52

. 내담자

상담장면에서 자신의 생활상의 문제나 고민을 털어놓고 사고와 감정, 행동상의 변화를 통해 적극적으로 성장하려는 주체적인 역할을 한다

생활과제의 해결(교우, 자녀, 부부, 인간관계 갈등, 선택갈등, 등)
갈등이나 문제를 객관적으로 조망 → 일단 감정이 가라앉아야 객관성이 찾아진다. → 전이 역전이의 문제
갈등이나 문제 속의 감정이나 생각의 탐색→ 감정의 자각
행동의 결과에 대한 이해→ 현명한 선택이 가능

사고/감정/행동의 자발적인 변화
비합리적인 사고의 파악 → 자신의 콤플렉스
과거에 회피했던 감정의 직면과 이해/수용 →
창조적이고 적극적인 방향으로의 행동변화 → 진정한 자기를 찾는 과정

성장하려는 존재(Erikson)
⇒ 기본적인 발달과제의 완수(인생은 책임을 인식하는 과정)
자기이해
자기신뢰
긍정적인 삶의 자세 확립 → 재기의 개념


2. 상담자

상담장면에서 내담자에 대한 관심(A)과 공감적인 이해(F)를 바탕으로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도움(A)을 주는 역할을 한다. (AFA법칙)

내담자에 대한 관심 (Attend : 관심 기울이기 / 주의 기울이기)
긍정적인 관심을 통한 성장
이용하기 위한 것이 아닌 이해와 수용을 위한 관심
내담자의 특성을 파악
내담자의 문제와 내담자의 감정이나 행동 알아챔

공감적인 이해 (Follow : 따라가기 / 이해하기)
공감 : 상담자가 직접 경험하지 않고도 자신의 감수성을 이용해
내담자의 감정을 거의 같은 수준으로 이해하여 전달하는 것
동감 : 상담자가 내담자의 감정을 자신의 경험이나 감정에 비추어 이해함으로써 객관성을 유지할 수 없는 상태가 된 것

전문적인 도움 (Ask : 질문하기 / 탐색하기)
새로운 체험이 가능 (현재의 모습이나 감정의 자각/구체적인 내용의 재조직과 체험)
분석적이고 일상적인 질문은 도움이 되지 않음
관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도움

3. 내담자 - 상담자 관계

내담자가 누군가(주로 상담자)와 함께 있다(presence)는 새로운 경험을 갖을 수 있는 관계를 의미하는데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상담자의 공감적인 이해와 수용적 존중, 일관성, 전문성이다.

함께 있다(presence)는 것의 의미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는 섬이 있다. 그 섬에 가고 싶다.
너와 내가 만나는 순간의 확대(접촉의 확대)
인간은 '고립'된 존재이다.
그러므로 이 고립으로 부터 벗어나도록 함께 해주는 것이 상담자의 역할이다.
"고립의 수준" : 자폐적
경계선적
우울증
히스테리
편집적
상담자와의 관계에서 내담자가 얻는 것은?
일관적으로 자신을 이해받고 수용받는 경험에서 신뢰감이 싹트고 자신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여유가 생기며, 변화를 향한 자발적인 힘을 얻는다.

(출처: 인터넷 카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