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의 한글이 대한민국의 '국문' 이 되기까지..
대한기독교서회, ‘한글과 조선예수교서회 간행물’ 심포지엄 SHARE 한국 초기 선교사들 1890년 조선성교서회 조직 한글 활용하면 선교 활발해질 것이라고 확신해 표음문자 한글, 자음·모음 알면 누구나 읽고 써 선교사들 통해 한국어 문법과 철자법 체계 잡혀 오래 전 창제돼 지금도 전 세계에서 우수성을 인정받는 ‘한류’의 중심이지만, 정작 우리나라에서는 오랜 기간 홀대받던 ‘한글’의 보급에 힘쓴 초기 한국교회와 선교사들의 공헌을 돌아보는 자리가 마련됐다. 대한기독교서회는 창립 130주년을 기념해 한글날을 앞둔 5일 오후 3시부터 ‘한글과 조선예수교서회 간행물’이라는 주제로 서울 정동 구세군 정동1928 아트센터 이벤트홀에서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창립 130주년은 지난해였으나, 심포지엄은 코로나19로 1..